<p></p><br /><br />관련된 이야기, 보도본부 하태원 부장과 함께 짚어 봅니다. 하 부장,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 <br>북한의 이름없는 마을이죠. <삭간몰 파문>을 키워드로 선택했습니다.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비핵화 협상에 더 큰 악재가 터졌습니다. <br><br>[질문1] 뉴욕타임즈는 great deception, 대규모 기만이라는 표현까지 썼는데. 어떤 판단이 옳습니까? <br> <br>미국이 북한과 협상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. 첫째 핵물질이 전세계로 확산되는 것을 막고, 둘째 핵탄두를 장착한 미사일이 본토에 떨어지는게 싫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위성사진을 보면, 1) 새로운 미사일이 계속 개발되고 있고 2) 신고하지 않은 미사일 기지 20곳 중 13곳을 적발했습니다. <br>게다가 북한은 여전히 핵물질을 생산하고 있다는 증거까지 있죠. 그러니 미국 입장에서는 김정은에게 기만당했다고 하는 것입니다. <br> <br>[질문2] 청와대가 신속하게 해명했는데 새로울게 하나도 없다는 대목이 눈에 띕니다. 행간에 어떤 뜻이 들어 있을까요? <br><br>김의겸 대변인이 그렇게 말했죠. 우리 청와대 입장은 미국 언론과 연구소가 호들갑을 떨고 있다는 겁니다. 어쩌면 트럼프 대통령을 저격한 것으로 보는 것 같기도 합니다. <br>우리 정부는 어떻게는 남북화해협력을 하고 미국과 북한이 사이좋게 지내게 하려고 노심초사하고 있죠. <br>200톤의 귤을 보내면서까지 김정은의 서울 답방을 끌어내려고 안간힘을 쓰는 상황에서 대화의 모멘텀을 잃고 싶지 않은 겁니다. <br><br>[질문3] 김의겸 대변인이 삭간몰의 미사일이 중단거리이기 때문에 icbm, irbm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는데. 북핵 문제를 북-미간 문제로 한정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있지 않습니까? <br><br>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긴 유명한 발언이죠? 북한 미사일을 두고 미국 가기엔 너무 초라하고 한국 오기엔 너무 크다고 했는데. 기본적으로 북한 미사일은 미국을 겨냥한 협상용이라는 인식이 확고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북한 단거리 미사일은 모두 남한 전역을 사정거리로 하고 있습니다. 정상각이 아니라 고각으로 발사한다면 서울과 수도권도 집중 타겟입니다. <br><br>게다가 이번 리포트의 저자인 버뮤데즈는 삭간몰의 모든 미사일에는 핵을 장착할 수 있다고 단언했습니다. <br><br>[질문4] 청와대 설명과 미국 설명이 다른게 또 있지 않았습니까? 북한이 미사일기지 폐기를 약속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국무부의 반박이 있었잖아요? <br> <br>공개적인 엇박자로 볼 수 있는 내용이 또 공개됐죠. 보기에 민망할 정도인데, CSIS 보고서가 나온 직후 미 국무부는 "김정은의 약속에는 탄도미사일 폐기가 포함된다"고 못 밖았습니다. <br>안보리 결의도 모든 종류의 북한미사일 발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5] 당장 미국 내에서 2차 북미회담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오는 분위기. 미 민주당에서도 제동을 걸었더군요? <br><br>하원을 장악한 민주당이 앞으로 비핵화 검증없는 협상에 제동을 걸겠다는 뜻을 밝힌 거죠. 내년 초로 추진중인 2차 북미정상회담 비토론을 내놓은 셈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존 볼턴 백악관국가안보보좌관은 보란 듯이 김정은 위원장을 다시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실한 핵신고가 이뤄지지 않는 한 북-미간 향후 협상은 험로가 예상됩니다. <br><br>보도본부 하태원 부장이었습니다.